1억 모으는데 걸리는 시간: 현실적인 재테크 플랜 세우기
월급만으로 1억 원을 모으려면 얼마나 모아야 할까요?
1년에 1억씩 모으기 챌린지를 하고 있는데, 저축하시는 분들 도움이 될까 해서 자료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현실적으로 가능한 목표일까?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자유의 첫걸음으로 "1억 원 만들기"를 목표로 삼습니다. 그런데 소득, 지출 구조에 따라 그 실현 가능성은 크게 달라지죠.
1억이라는 숫자는 막연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 매달 얼마를 모으느냐에 따라 달성 시기는 크게 차이 납니다. 따라서 자신의 소득 수준과 생활 패턴에 맞는 전략 수립이 매우 중요합니다.
2. 소득 수준에 따른 1억 달성 시간
💡 가정 조건
- 월 순수입: 세후 기준 (지출 제외)
- 이자/투자 수익 없음
- 매달 일정 금액 저축
월 저축금액1억 달성 예상 기간연 단위 환산
월 저축액 | 1년 달성 예상기간 | 연 단위 환산 |
100만 원 | 100개월 | 약 8년 4개월 |
150만 원 | 67개월 | 약 5년 7개월 |
200만 원 | 50개월 | 약 4년 2개월 |
300만 원 | 34개월 | 약 2년 10개월 |
400만 원 | 25개월 | 약 2년 1개월 |
📌 물가 상승률과 금융 투자 수익률을 고려하지 않은 보수적 계산입니다.
3. 목표 기간에 따른 월 저축액 계산
"나는 5년 안에 1억을 만들고 싶다"는 목표가 있다면, 매달 얼마나 저축해야 할까요?
목표 기간에 따른 월 저축금액을 계산해보았습니다.
5년 안에 1억을 만드려면 월 167만원을 저축해야합니다.
목표 기간 | 월 저축금액 (단순 계산) |
1년 | 약 833만 원 |
2년 | 약 417만 원 |
3년 | 약 278만 원 |
4년 | 약 209만 원 |
5년 | 약 167만 원 |
6년 | 약 139만 원 |
7년 | 약 119만 원 |
8년 | 약 105만 원 |
9년 | 약 93만 원 |
10년 | 약 84만 원 |
4. 현실적인 전략은?
✅ 1) 소비 구조 점검하기
- 고정지출(통신비, 구독료, 보험료)부터 점검해 불필요한 새는 돈 줄이기
- 주거비, 차량 유지비, 외식비 등 가변 지출도 분석하고 최적화하기
✅ 2) 소액 투자로 수익률 높이기
- CMA, 예적금보다 ETF, 적립식 펀드 등 장기 투자를 통해 복리 효과 노리기
- 예: 국내 주식형 ETF 중 일부는 1원 단위 소액 투자도 가능 (ex. KODEX 200, TIGER KRX300 등)
✅ 3) 자동이체 활용하기
- 저축을 생활화하는 데 자동이체만큼 효과적인 것도 없음
- 월급일 다음 날 자동이체로 소비 전에 먼저 저축하기
✅ 4) 연말정산·청년내일저축계좌 등 정책상품 활용
-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 상품은 절세 + 수익률 + 매칭형 저축이라는 1석 3조
- 예: 청년도약계좌, 근로자내일채움공제, 청년희망적금 등
5. 시뮬레이션: 월급 300만 원의 경우
월 300일 경우 월 저축 가능금액은 100~200만원 선 입니다. 150만원을 모은다고 가정 하였을 때 5년 7개월이 걸리네요. 맞벌이 가정이라면 둘의 월급을 합치고 생활비를 최소화하여 1억 달성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항목 | 금액 |
월 고정 지출 | 약 150만 원 |
월 저축 가능 금액 | 150만 원 |
1억 달성 예상 기간 | 약 5년 7개월 |
1억 원은 거대한 숫자처럼 보이지만, 구체적인 목표와 실현 가능한 계획을 세운다면 도달 가능한 숫자입니다. 중요한 것은 꾸준함과 자신에게 맞는 저축·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모두 화이팅!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익 인식 기준 완전 정리: K-IFRS 핵심 5단계부터 거래 유형까지 (0) | 2025.04.11 |
---|---|
아이폰이 333만 원이 될수도..? 트럼프 관세정책 이대로 괜찮을까 (1) | 2025.04.05 |
전세자금대출 금리 1% 차이, 가계는 얼마나 부담될까? (0) | 2025.04.05 |
출산가구 전기세 30% 감면 신청 방법: 놓치기 쉬운 정부 혜택 (0) | 2025.04.05 |
소액으로 부자 되기: 5만 원 이하 투자로 경제 감각 키우는 현실 전략 (0) | 2025.04.05 |